> 무속의 기원과 한반도 무속의 역사 무당굿
본문 바로가기
판타지 리뷰

무속의 기원과 한반도 무속의 역사 무당굿

by ghvdvg 2023. 6. 14.
반응형

목차

0. 서론
1. 무속신앙이란
2. 무속의 기원과 역사
3. 현대사회에서의 무속
4. 결론
 

1. 무속신앙이란

 
무교(巫敎,) 또는 무속신앙(巫俗信仰) 혹은 단순히 무속(巫俗)/무(巫)라고도 부르는 이것은 한국의 토착 종교이다. 샤머니즘, 즉 무당으로 불리는 중재자가 신령과 인간을 중재하는 종교로서 토테미즘적인 성격도 가져 자연의 정령이나 토착신령, 천신 등을 숭배했고 조상신 등의 귀신을 모셨다.

 


북아시아의 몽골, 퉁구스 등지의 텡그리즘종교관과 유사점을 가지며 단군 신앙에서부터 기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한민족의 민족 종교로 여겨지기도 한다.

 

2. 무속의 기원과 역사에서의 흔적

 

고조선 시대의 지도
고조선 시대의 지도

 

무속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고조선 때로 잡는다. 단군왕검에서 단군은 한국 고유의 말을 한자로 표현한 것으로 제정일치 사회의 제사장, 즉 종교의 우두머리를 뜻하며 왕검은 왕을 뜻한다는 설이 있다.

 

제천 의식은 문화적 특질과 종교적 특질 모두를 가지고 있는데,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는 고대국가 부여, 고구려, 예 마한 등의 나라가 모두 제천의례를 거행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백제의 무천, 마한의 천제는 대에 이르러 팔관회라는 이름으로 유지되었다.

처음 팔관회가 제정될 때에는 불교 법회의 하나로 시작하였으나 점점 불교적 색채가 옅어지고 무속신앙적 색채가 강한 제천행사로 바뀌었다.
 

신육복 화백의 #39;무녀신무#39;- 출처 간송미술문화재단
신육복 화백의 '무녀신무'- 출처 간송미술문화재단

 

조선시대에는 유학이 국가의 기본 이념이 됨에 따라 무속에 대한 탄압이 가해져 무당이 천민으로 전락했다.
그럼에도 무당들이 사람들의 질병을 돌볼 때 정성을 다하지 않으면 벌을 주라고 할 정도로 치유능력이 있는 자로 여겨졌다.

 


일제강점기에도 탄압받았으며, 광복 이후 북한에서는 미신으로 간주되어 거의 사라졌고 한국에서 그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무속 또한 박정희 정권 당시 벌어진 소위 '미신타파 운동'으로 인해 탄압받았다.

 

3. 현대사회에서의 무속

 

미타사 삼청각에 모셔진 무속의 독성 탱화
미타사 삼청각에 모셔진 무속의 독성 탱화

 

미타사 삼청각에 모셔진 산신 탱화
미타사 삼청각에 모셔진 산신 탱화


현대에는 불교와 무속이 상당 부분 융합되어 제사의식이나 사후세계에 대한관점이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하지만 불교가 한반도로 유입되던 초기에는 재래 신앙과의 충돌이 많았다. 한반도에 자리한 대부분의 국가는 왕권 강화를 위해 불교를 국교로 삼으려 했는데, 귀족들 사이에 무속신앙이 뿌리 깊게 박혀있어 국교로서 채택되기가 쉽지 않았다.

그 타협점으로 불교문화에 무속신앙적 특징들을 상당 부분 도입함으로써 이질감을 줄이고 무속 역시 불교적 색채를 적극 수용한 결과로 현대의 불교와 무속신앙에 이르게 된 것이다.

현대 무속의 굿이 나치성 등의무속행 위 역시 상당 부분이때 그 기본적인 형식과 기틀이 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생과 환생의 결과 윤회와 해탈에 대한 이야기 생사유전

목차 목차 0. 서론 1. 윤회의 정의 2. 윤회 사상의 종교적 발상 3. 종교별 윤회의 관점 4. 윤회와 현대사회 5.결론 인간은 전생과 환생이라는 초자연적인 현상을 통해 윤회라는 영원한 굴레에 빠지

10000can.com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